목 디스크(추간판탈출증)는 경추(목뼈)사이의 디스크가 빠져나오거나 뼈 조직이 목으로 지나가는 척추신경을 압박해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목 디스크의 원인으로는 잘못된 자세, 차량 접촉사고, 충격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와 컴퓨터 혹은 스마트폰 장시간 사용 입니다.
목 디스크 증상
1
목 통증은 물론 어깨와 팔, 손까지 찌릿하고 저립니다.
2
오십견 등의 어깨질환은 아닌데 어깨통증이 지속됩니다.
3
원인모를 통증이 계속 발생합니다.
4
손가락에 감각이상이 생기고 힘이 빠집니다.
5
목 통증과 더불어 원인모를 두통이 발생합니다.
6
눈이 빠질 듯한 안구통증이 발생합니다.
진단
문진
신경학적 검사
X-ray 등
치료
비수술적 방법
약물치료
물리치료·운동치료
신경치료·도수감압치료
수술적 방법
미세현미경 디스크 제거술 및 유합술
인공디스크 치환술
허리디스크란?(요추간판 탈출증)
허리디스크는 척추뼈와 척추뼈를 연결해주는 강한 연결 조직으로서 중앙의 수핵과 수핵을 싸고 있는 섬유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디스크에 문제가 생겨서 발생하는 추간판 탈출증은 추간판의 퇴행성변화에 의해, 수핵을 싸고 있는 섬유륜이 파열되어
수핵이나 섬유륜이 신경관내로 돌출, 탈출돼 신경을 압박하고 허리통증이나 골반 통증, 다리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허리디스크의 원인
1
척추의 움직임이 심한 운동(스포츠)
2
평소에 허리를 많이 사용하는 직업
3
잘못된 자세
4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동작
5
퇴행성 변화(노화)
허리디스크의 증상
- 허리에 찌릿한 통증이 지속적으로 발생합니다.
- 허리는 물론이며 엉치, 다리, 발까지 저리고 당기는 통증이 느껴집니다.
- 허리를 앞으로 숙이거나, 의자에 앉아있을 때 통증이 발생합니다.
- 평소 허리가 묵직하게 느껴집니다.
- 누워서 휴식을 취하면 통증이 완화되지만, 다시 활동을 하면 통증이 시작됩니다.
- 하반신 혹은 발가락 등에 힘이 빠집니다.
- 기침이나 재채기, 배변 시 통증이 느껴집니다.
허리디스크 진단
문진, 하지직거상 검사, X-ray, MRI 등
01허리디스크 치료
치료
비수술적 방법
신경주사요법 약물치료, 물리치료 등으로도 효과가 없을 때 이용
경막외주사요법 소염제와 국소마취제를 경막(척추신경을 감싸는 막) 바깥쪽 공간에 주사
무중력감압치료 미항공우주국(NASA)의 우주인들이 무중력 상태에서 디스크의 간격이 정상적 상태로 복원되는 것에 착안한 치료법
수술적 방법
경피적 내시경 디스크 제거술 내시경을 이용해 디스크의 상태를 직접 보면서 문제가 있는 디스크를 제거하는 방법
미세현미경 디스크 제거술 허리부근 피부를 15mm 정도 절개해 현미경으로 보면서 신경을 누르는 디스크를 제거하는 방법